반응형
SMALL
2번째로 작성할 내용은 코틀린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문법 요소와 변수와 관련된 내용입니다. 기본적인 내용은 C++과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.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문법에 근거한 내용에 Kotlin만의 특징이 들어간 부분들을 중점으로 소개해보겠습니다.
주석
- 한줄 짜리 주석 : // 로 시작
- 여러줄 주석 : /* 로 시작하여 */ 로 끝
- *KDoc 여러줄 주석 : /** 로 시작하여 */ 끝
*KDoc : KDoc이란 코틀린 코드를 문서화시켜주는 언어입니다. 예시로 Kotlin 함수나 클래스의 정의 코드로 들어가보면 볼 수 있는 설명문 코드입니다. 코드의 정의 부분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기준으로 자신이 원하는 클래스나 함수를 우클린 한 후 Go To -> Declaration Or Usage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변수
- [val 키워드 ex) val, var] [변수 식별자 ex) a,b,c] [타입 명시시 추가 ex) : int] = [변수의 초깃값] (세미콜론 생략 가능)
- 타입을 명시하지 않아도 변수의 초깃값을 통해 타입 추론 (Type Inference) 을 하여 타입을 도출
- val은 불변 변수이고, var은 가변 변수
- 필요할 때 암시적으로 박싱 수행
- 원시타입 (Primitive Type) : int, float, char, boolean 같은 기본 타입 / 작은 메모리를 사용하며 빠른 연산을 지원합니다.
- 참조 타입(Reference Type) : String, Array 같은 Class / 변수들은 해당 객체의 주소를 저장하고 실제 데이터는 힙 메모리에 저장
- 박싱 타입 (Boxing Type) : 참조 타입을 객체로 감싸는 Wrapper Class / 객체이므로 더 많은 메모리를 사용하고 관련 메소드와 속성을 저장
정수 ( Byte, Short, Int, Long )
- 수 리터럴
- _ : 세 숫자씩 끊어서 사용 ex) 100_000_000
- L : 접두사로 사용하여 Long 타입 지정
- 0b (2진수), 0x(16진수)
- 최솟값(MIN_VALUE),최댓값(MAX_VALUE)을 포함한 상수 정의가 존재 ex) Int.MAX_VALUE
소수 ( Float, Double )
- 정수 부분이 비어있는 경우 정수 부분을 0으로 간주 ex) val quarter = .25 // 0.25
- 과학적 표기법 (Scientific Notification) 리터럴 허용 (e) ex) val pi = 0.314E1 // 3.14 = 0.314 * 10
- floorDiv() [정수 나눗셈 연산], mod() [정수 나머지 연산] 메소드 지원
- float과 double 의 연산을 진행하게 되면 더 큰 의미를 가진 double 타입으로 결과가 제공
문자 ( Char )
- 이스케이프 (Escape) 제공
- \t : 탭
- \b : 백스페이스
- \n : 새 줄
- \r : 캐리지 리턴
- \' : 작은 따옴표
- \" : 큰 따옴표
- \\ : 역 슬래시
- \$ : 달러 표시
- \u : 16진수 네자리 -> 임의의 유니코드 문자 반환
비교
- 두 인자가 모두 같은 타입일 때 == 와 != 를 허용
- 모든 수 타입의 값은 <, <=, >, >= 를 사용해 비교 가능
- NaN의 값은 어떤 값과도 같지 않다, isNaN() 함수를 사용해 판별 가능
- 코틀린에서는 == 연산은 equals() 호출하는 의미, 참조 동등성(Referential Equality)을 사용하려면 ===, !== 을 사용
문자열 ( String )
- 문자열 템플릿 (String Template) : ${변수.프로퍼티 or 함수} 를 통해 변수를 포함한 문자열 정의 가능, 간단한 변수 참조인 경우엔 $변수
- 로우 문자열 (Raw String) : 큰 따옴표 세 개로 새줄 문자를 포함 가능하고 특수 문자를 사용할 경우엔 ${} 안에 넣으면 사용 가능
- trimIndent() : 최소 들여쓰기를 제거해주는 표준 코틀린 함수
- length (문자열의 길이) , lastIndex (마지막 인덱스) 프로퍼티 제공
- + 연산자를 통해 두 문자열을 연결(Concentrate) 가능
- 문자열 두 객체를 비교할 때 문자들의 순서와 길이가 같으면 같은 문자열로 간주
- 문자열은 사전식 순서로 정렬되어 <, >, <=, >= 같은 연산이 사용 가능
배열 ( Array )
- 배열 구조를 구현하는 가장 일반적인 코틀린 타입 : Array<T>
- 특화된 배열 타입 제공 : ByteArray, ShortArray, ... , DoubleArray ...
- size (배열의 길이), lastIndex 프로퍼티 제공
반응형
LIST
'Kotli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otlin 클래스와 객체 (4) (0) | 2024.03.01 |
---|---|
Kotlin 함수 정의하기 (3) (1) | 2024.02.27 |
Kotlin 개념 (1) (0) | 2024.02.21 |
Kotlin 시작 (1) | 2024.02.15 |